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소득세 신고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릴껀데요. 5월달이 되면서 직장인분들과 사업하시는 개인사업자분들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하느라 매우 바쁘실텐데요. 저도 직장 다닐때는 이맘 때쯤 종합소득세 1년치를 정산하느라 엄청 바빴던 기억이 납니다. 생각보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은 간단한거 같으면서도 복잡한대요. 세금계산서, 그 동안쓴 카드비용, 현금영수증, 은행의 내용 등등 여러가지를 정리해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은 사이트를 통해서 간단하게 조회가 가능한대요 조회한 내용과 원래의 원본이 일치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리고 빠진 내용들을 추가하면 되는것이죠. 그래서 오늘은 제가 예전에 해본 종합소득세 신고방법을 더듬어 실질적으로 얘기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란 소득세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과세이며, 일년동안 발생한 배당소득, 이자소득, 부동상임대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 사업소득을 합산한 것을 말합니다. 

장점

1. 최저생활비에 대해 면세할수 있다. 

2. 누진세율 적용이 가능하다. 

3. 국가의 공동수요를 충족할수 있다.

단점

1. 세월 조사로 영업의 비밀이나 사생활이 침해 될수도 있다. 

2. 개인소득의 정확한 파악이 어려울수도 있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신고를 하기전 용어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신고서 : 대개 일반신고서를 선택하여 신고를 하며, 기준경비율 적용대상 이거나 간편장부, 복식부기에 의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하는 경우에 선택합니다. 소득 종류가 2가지 이상인 경우 신고
근로소득자 신고서 : 근로소득만 있는 소득자가 간편하게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저희처럼 근로하는분들이 신고하면은 되겠죠.
소규모 주택임대 분리과세 신고서 : 이천만원 미만 주택임대 분리과세 소득자가 간편신고 할수 있습니다. 
종교인소득자 신고서: 종교인만 있는 소득자가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단순경비율 추계신고서: 신고 안내 유형이 F, G 유형이거나 단순 경비율 적용대상 사업소득자가 소득금액 계산하여 제출합니다. 
토지 등 매매차익 예정신고서 :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토지, 건물 매매차익을 신고할때 작성하여 매매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이 되는 날까지 신고하는 것을 말합니다. 
증빙서류제출 : 장애인증명서, 수급자증명서, 입양관계증명서, 기부금영수증 단, 근로소득자는 연말정산 시 원천징수 의무자 와 연말정산간소화에서 조회되는 자료는 제출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종합소득세는 홈택스를 이용해 신고하는것이 제일 간편한 방법인데요. 홈택스에 먼저 들어가셔서 공인인증서가 있으시면 공인인증서로 들어가셔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시면 되는데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공인인증서 로그인 ▶ 종합소득세로 들어가서 작성을 하시면 되는데요. 먼저 기본정보 납세자와 사업자는 입력을 꼭 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공인인증서로 입력하시면 기본사항은 입력이 되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위에 보이시는데로 입력은 기본사항, 종합소득금액, 결손금, 이월결손금 공제명세서 소득공제명세서 기부금, 및 조정명세서 세액감면, 공제, 준비금 명세서 가산명세서 기납부세액명세서 세액계산 신고서 제출을 하시면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나의 후기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예전 회사를 다닐때 종합소득세를 신고를 하였는데요. 저희 회사는 성실신고대상이므로 6월 30일까지 신고를 하였답니다. 제가 담당자이기 때문에 제가 주로 자료를 정리하여 세무소에 넘길부분은 넘기고 신고할 부분은 따로 신고를 하였는데요. 주로 기관은 홈택스를 이용하였으며, 공인인증서를 통해 신고를 하였습니다.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시면 대부분의 내용들은 다 입력이 되어 있는데요. 이때, 추가 할 내용들을 추가 하시면 되며, 신용, 체크 카드내역, 현금영수증, 국연연금 , 건보료, 주민세, 갑근세 , 병원진료 등등 개인적으로 쓴 내용들이 다 기입이 되니 추가로 이용한 내용들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회사에서 신고하시는 경우에는 세무소를 꼭 이용하시는게 좋은데요. 기본적인 부분은 회사에서 처리가 가능하지만 전체적인 내용의 비용은 구체적으로 하시는것이 나중을 생각했을때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잘못했다하면 과태료를 물수도 있기 때문이죠.

 

 

회사에서 할일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1. 종합소득세 사업자 부분 신고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기입하면 모든 부분은 다 기입됩니다.)

    또한, 추가사항은 따로 제출 또는 기입하시면 됩니다.

2. 회사에서 따로 쓴 기타경비(조의금,축의금,상여금등등), 현금영수증, 세금계산서부분, 계좌내용, 급여내용, 4대 등을 준비합니다. 

 

위의 사항들을 세무소에 보내시면 세무소에서 처리 가능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의 신고대상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1. 회사를 이직한 자 
2. 주택을 임대하여 소득이 발생한 자
3. 연금소득과 기타소득이 있는 자
4. 금융 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한 자
5. 프리랜서로 일하는 자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의 납부기한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 신고방법의 납부기한은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이며,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는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니 이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마지막 제출기한 날짜가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다음주 월요일까지 납부 가능하므로 일자 꼭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종합소득세 기준표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200만원 이하 6%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15% 108만원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24% 522만원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원 이하 35% 1천 490만원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38% 1천 940만원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40% 2천 540만원
5억원 초과 42% 3천 540만원

장부를 기입하는 사업장은 소득금액 에서 총수입금액 빼기 필요경비를 하시면 됩니다. 또한 장부를 기입하지 않는 사업장에서는 기준경비율 대상자 소득금액에서 수입금액 에서 주요경비 빼기 수입금액 곱하기 기준경비율을 해주시구요. 단순경비율 대상자 소득금액 수입금액 빼기 수입금액 곱하기 단순경비율을 하시면 됩니다. 밑에 표로 다시 정리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 장부를 쓰는 사업장: 소득금액 = 사업장 매출 - 필요경비
  • 장부를 쓰지 않는 사업장 기준경비율 대상자 소득금액 = 사업장매출 - (수입금액 X 기준경비율)
  • 단순경비율 대상장 소득금액 = 수입금액 - (수입금액 X 단순경비율)

 

과세표준은 금액에 따라 세율으로 누진공제액이 결정이 되는데요. 위에 보이시는데로 1,200만원 이하이면 누진공제액이 없으니 이점 확인해주시구요. 이상이 되면 세율과 누진공제액이 적용되는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위에 내용을 숙지하고 있으면 종합소득세를 낼때 어느정도 계산에 도움이 되니 확인하시면서 모의 계산도 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이렇듯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에 대해서 저의 회사 다녔을 적 후기와 납부대상, 납부기한 등등 여러가지를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들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세무소를 끼고 처리를 한다면 매우 간단해 지는데요. 기본적인 사항만 회사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부분은 세무소에 맡기게 되면 깔끔하게 다음에 따로 처리할일이 없어집니다. 종합소득세에 대해 기본적인 사항을 모르신다면 위에 있는 내용을 참고 하셔서 처리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오늘도 저의 포스팅이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저는 다음에 더 도움되는 내용들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하루 마무리 잘하시구요. 감사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란, 장점 및 주의점  (4) 2020.07.27
재테크 방법 안전하게 하기  (3) 2020.07.18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정리  (0) 2020.06.12
양도세 자동계산  (0) 2020.05.05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율  (0) 2020.04.3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